네이버 가계부 | 전월이월 소개 및 이용 방법.
전월이월은 전달의 사용하고 남은 돈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월이월 = 전달의 (수입) - (지출)
※ 전월이월에 계산되는 지출 은 카드대금을 포함한 현금지출을 의미합니다.
이달의 가계 와는 달리 전월이월은 실제 현금 에 대한 잔액이므로 현금지출에 카드대금 포함 설정 여부와는 무관하게 카드대금이 지출에 포함됩니다.
정확한 전월이월 금액을 생성하기 위해 한 달간의 모든 수입과 지출을 꼼꼼하게 기록한 후에 [정산하기]를 진행해주세요.
[정산하기] 버튼은 [쓰기>지출] 화면 하단에서 제공됩니다.
(쓰기>수입 페이지에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3월의 [쓰기>지출] 화면에서 [정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2월의 수입과 지출 내역을 토대로 3월의 [쓰기>수입] 첫 날짜에 전월이월 금액이 생성됩니다.
전월이월 [정산하기]는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잔액이 맞지 않을 경우 지난달의 수입과 지출내역을 다시 확인한 후 [정산하기]를 재시도하면 전월이월 금액이 새롭게 생성됩니다.
네이버 가계부 | 체크카드 문자 자동 등록 시 '현금'으로 등록되는 경우.
체크카드의 경우 카드라는 매체를 이용하지만 승인이 나자마자 통장에서 현금이 인출되는 사실상 현금 지출입니다.
네이버 가계부의 경우 통장 잔액을 맞추어 자산을 관리해드리는 통장관리 서비스를 제공해드리고 있기 때문에 체크카드의 이용내역은 현금으로 인식해드리고 있습니다.
또한 사실상 체크카드는 사용 즉시 현금이 바로 빠져나가므로 현금 지출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이에 우선 카드설정 화면에서 해당 카드를 체크카드로 등록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문자 자동 등록 시에는 설정해둔 카드로 자동 맵핑해드리게 됩니다.
만약 카드로 설정하셨음에도 [현금]으로만 맵핑된다면, 해당 카드사의 체크카드를 환경설정에서 2장 이상 등록했는지 확인 바랍니다.
동일 카드사의 카드는 신용카드 1개, 체크카드 1개만 자동 맵핑을 지원해드리고 있으며, 두 장 이상의 카드를 등록하신 경우는 자동 맵핑을 지원해드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때 해당 SMS가 도착했을 때 카드 맵핑을 '현금'으로 해드리는 것입니다.
환경설정에 해당 카드를 등록하셨는지 꼭 확인한 후, 혹시 같은 체크카드를 두 장 이상 등록했다면 한 장을 삭제해야 카드 맵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체크카드의 경우도 카드라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고, 카드사에서 실적 등을 체크하는 등 해당 카드로 얼만큼 사용을 했는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텐데요.
이때는 통계>카드/현금 메뉴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체크카드의 경우 현금 지출이므로 해당 화면에서 체크카드는 '0원'으로 노출되긴 하지만, 해당 내역을 터치하여 상세화면으로 이동 시
상단에 한 달 동안 이용한 금액 합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가계부 | 카드깡 작성 방법.
가계부는 기본적으로 수입과 지출을 단순하게 기록하는 곳으로, 할부, 카드대금 선결제(중도 상환), 카드깡 등 다양한 내역을 기록할 수 있는 정답은 사실 상 없습니다.
다만 편의를 위해 특수한 경우 기능을 추가하거나,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사용 팁을 제공해드리고 있으므로, 아래 내용 참고하여 작성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먼저 지인의 요청으로 고객님께서 대신해서 카드 결제를 하고 추후 그 금액을 받으셨을 때 가계부 작성 방법을 안내해드립니다.
1. 카드로 먼저 결제한 금액
[쓰기>지출]에서 카드 영역에 금액을 기재합니다.
(분류는 식비, 생활용품 등 해당 지출에 알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추후 [정산하기]를 진행하면 생성되는 카드대금에 해당 금액이 포함됩니다.
2. 지인에게 받은 금액
[쓰기>수입]에 내역을 기재하며, 통장관리 사용 시 [입금 통장]에서 돈을 받은 통장을 선택합니다.
통장관리 미사용 시에는 [수입]에 내역을 기재하시고 원하시는 분류를 지정하면 됩니다.
실제로는 지출이 한 번 일어나고 수입으로 한 번 들어오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위와 같이 이중으로 기재해야 합니다.
츨처: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om/support/list/home.help
전월이월은 전달의 사용하고 남은 돈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월이월 = 전달의 (수입) - (지출)
※ 전월이월에 계산되는 지출 은 카드대금을 포함한 현금지출을 의미합니다.
이달의 가계 와는 달리 전월이월은 실제 현금 에 대한 잔액이므로 현금지출에 카드대금 포함 설정 여부와는 무관하게 카드대금이 지출에 포함됩니다.
정확한 전월이월 금액을 생성하기 위해 한 달간의 모든 수입과 지출을 꼼꼼하게 기록한 후에 [정산하기]를 진행해주세요.
[정산하기] 버튼은 [쓰기>지출] 화면 하단에서 제공됩니다.
(쓰기>수입 페이지에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3월의 [쓰기>지출] 화면에서 [정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2월의 수입과 지출 내역을 토대로 3월의 [쓰기>수입] 첫 날짜에 전월이월 금액이 생성됩니다.
전월이월 [정산하기]는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잔액이 맞지 않을 경우 지난달의 수입과 지출내역을 다시 확인한 후 [정산하기]를 재시도하면 전월이월 금액이 새롭게 생성됩니다.
네이버 가계부 | 체크카드 문자 자동 등록 시 '현금'으로 등록되는 경우.
체크카드의 경우 카드라는 매체를 이용하지만 승인이 나자마자 통장에서 현금이 인출되는 사실상 현금 지출입니다.
네이버 가계부의 경우 통장 잔액을 맞추어 자산을 관리해드리는 통장관리 서비스를 제공해드리고 있기 때문에 체크카드의 이용내역은 현금으로 인식해드리고 있습니다.
또한 사실상 체크카드는 사용 즉시 현금이 바로 빠져나가므로 현금 지출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이에 우선 카드설정 화면에서 해당 카드를 체크카드로 등록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문자 자동 등록 시에는 설정해둔 카드로 자동 맵핑해드리게 됩니다.
만약 카드로 설정하셨음에도 [현금]으로만 맵핑된다면, 해당 카드사의 체크카드를 환경설정에서 2장 이상 등록했는지 확인 바랍니다.
동일 카드사의 카드는 신용카드 1개, 체크카드 1개만 자동 맵핑을 지원해드리고 있으며, 두 장 이상의 카드를 등록하신 경우는 자동 맵핑을 지원해드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때 해당 SMS가 도착했을 때 카드 맵핑을 '현금'으로 해드리는 것입니다.
환경설정에 해당 카드를 등록하셨는지 꼭 확인한 후, 혹시 같은 체크카드를 두 장 이상 등록했다면 한 장을 삭제해야 카드 맵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체크카드의 경우도 카드라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고, 카드사에서 실적 등을 체크하는 등 해당 카드로 얼만큼 사용을 했는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텐데요.
이때는 통계>카드/현금 메뉴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체크카드의 경우 현금 지출이므로 해당 화면에서 체크카드는 '0원'으로 노출되긴 하지만, 해당 내역을 터치하여 상세화면으로 이동 시
상단에 한 달 동안 이용한 금액 합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가계부 | 카드깡 작성 방법.
가계부는 기본적으로 수입과 지출을 단순하게 기록하는 곳으로, 할부, 카드대금 선결제(중도 상환), 카드깡 등 다양한 내역을 기록할 수 있는 정답은 사실 상 없습니다.
다만 편의를 위해 특수한 경우 기능을 추가하거나,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사용 팁을 제공해드리고 있으므로, 아래 내용 참고하여 작성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먼저 지인의 요청으로 고객님께서 대신해서 카드 결제를 하고 추후 그 금액을 받으셨을 때 가계부 작성 방법을 안내해드립니다.
1. 카드로 먼저 결제한 금액
[쓰기>지출]에서 카드 영역에 금액을 기재합니다.
(분류는 식비, 생활용품 등 해당 지출에 알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추후 [정산하기]를 진행하면 생성되는 카드대금에 해당 금액이 포함됩니다.
2. 지인에게 받은 금액
[쓰기>수입]에 내역을 기재하며, 통장관리 사용 시 [입금 통장]에서 돈을 받은 통장을 선택합니다.
통장관리 미사용 시에는 [수입]에 내역을 기재하시고 원하시는 분류를 지정하면 됩니다.
실제로는 지출이 한 번 일어나고 수입으로 한 번 들어오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위와 같이 이중으로 기재해야 합니다.
츨처: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om/support/list/home.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