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가계부 | 통장관리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계부 작성 방법.
[통장관리]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체/대체' 분류와 ‘출금통장’, ‘입금통장’을 기록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좌측 메뉴의 [이달의 자산현황]과 [자산현황] 보고서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대신 '저축/보험' 분류를 사용하여 자산에 대해 기록하고, 관련된 내용을 [총누적자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쓰기>지출] 페이지에 사용 내역과 금액을 적고 '저축/보험' 분류를 선택하면 해당 분류에 금액이 늘어납니다.
[쓰기>수입] 페이지에 내역과 금액을 적고 '저축/보험' 분류를 선택하면 해당 분류에서 금액이 줄어듭니다.
즉, 지출 뿐 아니라 보험/예금/적금 납입 등은 [쓰기>지출] 페이지에 기재합니다.
(이 내역들은 보유한 현금 잔액을 줄이기 때문에 지출입니다.)
그리고 수입과 보험/예금/적금 등에서 찾은 내역은 [쓰기>수입] 페이지에 기재합니다.
(이 내역들은 보유한 현금 잔액을 늘리기 때문에 수입입니다.)
통장관리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단순 현금흐름 중심으로 기재하기 때문에 '저축/보험' 분류로 기입할 보험/예금/적금 등의 납입 금액이나 찾은 돈도 수입이나 지출처럼 금액이 합산됩니다.
네이버 가계부 | 통장 관리 기능을 사용할 경우 가계부 작성 방법
자산은 [통장관리] 기능을 활용하면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먼저 [통장관리] 페이지에 보유하고 계신 통장을 등록하면, 단순히 수입과 지출의 흐름을 기재하는 것뿐 아니라 통장별로 고객님의 자산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가계부 좌측 하단의 '환경설정'을 눌러 통장관리 사용 여부를 설정해주세요.)
통장별로 자산을 관리할 때는, 입금통장 또는 출금통장을 꼭 입력해주시고 금액은 '현금' 라인에 적어야 통장 잔액에 바로 반영됩니다.
통장 잔액은 좌측 [이달의 자산현황] 메뉴 또는 [보고서>자산현황]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A통장에서 B통장으로의 이체를 표현하려면, [쓰기>지출]페이지에 내역을 입력하고 '출금통장'은 A통장, '분류'는 '이체/대체>B통장'을 선택하면 됩니다.
즉, [쓰기>지출] 페이지에는 지출뿐 아니라 내 자산 간의 이동(이체/대체)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쓰기>수입]에는 내 순자산을 증가시키는 외부에서 들어온 돈(월급, 상금, 용돈 등)만 기입해주세요.
[쓰기>수입] 페이지에 작성할 때도 '입금통장'을 지정하여 해당 금액이 어떤 통장 및 자산에 반영될지 정해주세요.
[통장관리]를 이용하지 않고 '저축/보험' 분류를 이용하여 입금/출금을 기록하실 수도 있습니다.
통장과 소지 현금 간의 구분 없이 단순하게 기재하고 싶을 경우, 환경설정에서 '[통장관리] 사용안함'을 선택하면 됩니다.
네이버 가계부 | 한 달에 입력 가능한 가계 내역 건수.
한 달에 쓸 수 있는 가계 내역은 1,000건까지 최적화되어 있으며, 1,000건 이상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000건 이상의 많은 건수를 입력할 경우 화면이 느려지거나 기능의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 가계부 | 가계부 일정 및 메모 작성 방법.
지출 일정이나, 꼭 돈이 아니라도 관련된 일정을 등록하고 싶거나, 그날의 기록을 남기고 싶다면 가계부와 캘린더가 연동되어 가계부에서 편리하게 일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일정은 빠른 쓰기에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
가계부 페이지 왼쪽 상단 [빠른 쓰기]를 누르면 팝업 창이 노출되며 가계 내역과 일정, 메모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일정 옆 할일 추가 버튼을 누르면 일정을 등록할 수 있는 영역이 노출되며 내용에 일정의 제목이나 상세 내용을 입력하고 입력을 누르면 간단하게 할 일이 추가됩니다.
캘린더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도 자동으로 생성되며 작성된 일정은 캘린더 서비스에 같이 등록됩니다.
등록하려는 일정에 알림 기능을 설정하려면 '알림'에 체크한 후 알림 받을 날짜와 시각을 설정하면 됩니다.
알림은 미리 앞날에 등록하면 더욱 유용합니다.
츨처: 네이버 고객센터 https://help.naver.com/support/list/home.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