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블로그스팟을 사용했을땐 방문자 유입이 거의 없었습니다.
거의 사막에 모래알 처럼 어디에 있는지도 모를 나 만의 공간이였는데, 시간이 흘러가니 어느샌가 방문자가 조금식 늘어났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블로그스팟의 방문자가 늘어난 속도보다 티스토리의 방문자 유입이 줄어드는 속도가 훨씬 빠르다고 말해야 할것 같습니다.
현재 티스토리의 방문자는 몇달 전부터 완전한 하락추세입니다. 그에 반해 블로그스팟은 다행이게도 어느정도 버텨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현재 블로그스팟의 방문자가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 보다 더 많아 졌습니다.
구글검색에서 저품질 당한 블로그는 어지간해선 다시 노출이 되는 경우는 잘 없는 듯 합니다. 반대로 한번 노출된 블록는 꾸준히 잘 되는듯 한데, 그러기에 구글의 방문자 변동은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듯 했습니다.
네이버의 경우는 로직 변경을 할때마 그런지는 모르지만 방문자 유입 변동이 많이 심한 편인데, 시간이 흐르면 어느정도 안정이 되려나 싶었느데, 이직까지 그러질 못하고 있는 듯 합니다.
시간이 흐른 만큼 검색 봇들도 발전을 하겠지만, 요즈음 검색 결과를 보면 에번 못하다는 느낌이 들때도 있습니다.
앞으로 검색 봇들도 지금보다는 훨씬 똑똑해져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구글도 이번에 검색 로직 변화가 있었던것 같은데, 방문자의 유입 변동이 완만하게 이루어진다고 했었는데, 이번에는 그 변동이 좀 심했다 여겨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쩜 변화의 속도에 맞게 대응하다보니 검색 봇들도 힘에 부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블로그스팟도 무료제공되는 플랫폼 치고는 꽤 괜찮은게 아닌가 생각되는데, 국내에서 사용자가 많이 없다는 건 다 그만한 이유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티스토리에 카카오가 자체 광고를 띄우면서 부터 티스토리를 이탈하여 다른 블로그를 찾아 떠난 사람이 제법 있음을 느낄 수 있었는데, 검색을 해 보면 예전엔 블로그스팟에 대한 자료들을 찾아보면 거의 없는데, 요즈음 제법 검색이 되는걸 보면 이용자가 국내에서도 늘어나고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렇다고 티스토리를 바로 버리지는 않았을 듯 한데, 아무튼 앞으로 티스토리가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르겠지만 현재 티스토리에 자체광고를 넣는다는 좀 아닌듯 여겨지는 부분입니다. 광고도 본문내 광고를 넣을 꺼면 상단이나 하단 1곳을 정해 넣었더라면 그나마 거부감이 덜 할듯 한데, 랜덤으로 상, 하단에 광고를 넣는다고 하니 아예 본문의 상,하단엔 카카오 자체 광고가 달리지 이곳엔 손대지 말라고 하는것 같습니다.
아무튼 티스토리가 이대로 간다면 얼마나 오래 살아남을지 의문이 드는 부분인데, 시간이 흐를 수록 이용자는 점점 줄어 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고스란이 그런 사용자들이 블로그스 팟이나 워드프레스로등으로 이동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국내에서 티스토리만한 플랫폼이 없는데, 그 좋은 플랫폼을 그렇게 밖에 이용할 수밖에 없었는지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티스토리 속에 담진 정보량만 해도 어마 할듯 한데, 이런걸 잘 활용하면 좋을 듯 한데, 굳이 자체광고를 넣어야할 정도로 티스토리 운영이 어려웠는지?
내일은 비가 내린다고 하는데, 지금의 날씨는 정말 그럴까 싶을 정도로 너무 좋네요.